스마트홈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기'보다도 '관리 앱'입니다. 기기가 아무리 좋아도, 앱이 복잡하거나 불안정하면 사용이 어렵고 스트레스만 늘어나죠.

이번 글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홈 앱인 구글 홈(Google Home), 삼성 스마트싱스(SmartThings), 샤오미 미홈(Mi Home)의 기능, 호환성, 사용 편의성을 비교해보고, 1인 가구에 적합한 앱 선택 팁도 함께 소개합니다.

1. 앱 개요 및 사용 대상

앱 이름 제조사 주요 사용 대상
Google Home Google 구글 어시스턴트 기반 기기 사용자
SmartThings Samsung 삼성 가전 및 IoT 기기 사용자
Mi Home Xiaomi 샤오미 스마트기기 사용자

2. 기능 비교

항목 Google Home SmartThings Mi Home
기기 제어 다양한 브랜드 연동 가능 삼성 생태계에 최적화 샤오미 제품 전용
자동화 설정 간단한 루틴 중심 고급 자동화 조건 다양 스마트 시나리오로 설정 가능
음성 명령 Google Assistant Bixby, Google 지원 Google, Alexa 일부 가능
앱 안정성 가볍고 직관적 다소 무거우나 기능 다양 제품별 호환성 다소 편차

3. 앱별 장단점 요약

① Google Home

  • 장점: 인터페이스 직관적, 다양한 브랜드와 연동
  • 단점: 고급 자동화 설정은 다소 제한적

② Samsung SmartThings

  • 장점: 루틴, 조건부 자동화, 보안 센서 연동 가능
  • 단점: 비삼성 기기 연동이 제한적이거나 설정 복잡

③ Xiaomi Mi Home

  • 장점: 샤오미 기기 최적화, 가성비 사용자에 적합
  • 단점: 서버 위치 설정 필요, UI 다소 복잡

4. 1인 가구에 추천하는 조합

  • 입문자/전구·플러그 중심: Google Home + Yeelight / Koobi
  • 삼성 가전 사용 중: SmartThings + 삼성 공기청정기 / 도어락
  • 샤오미 중심 구성: Mi Home + Mi 공기청정기 + 센서


5. 앱 설정 시 유의사항

  • 서버 위치 확인 (특히 미홈): 한국/중국/싱가포르 선택 여부에 따라 기기 표시 달라짐
  • 이중 인증 적용: 계정 보안 강화 필수
  • 앱 권한 설정: 알림·위치·백그라운드 제한 해제

마무리하며

스마트홈 기기를 아무리 잘 갖춰도, 앱이 불안정하거나 복잡하면 일상 속 자동화는 불가능합니다. 자신이 보유한 기기 브랜드와 사용 스타일에 맞는 앱을 선택해, 기기 간 호환성과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세요.